Tear the World Dow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ear the World Down은 2010년에 발매된 위 아 더 폴른(We Are the Fallen)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11개의 정규 트랙과 2개의 B-사이드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재생 시간은 46분 13초이다.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하드 록과 누 메탈 스타일로 평가받았다.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3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데뷔 음반 - Olly Murs
올리 머스의 데뷔 앨범인 Olly Murs는 엑스 팩터 시즌 6에서 2위를 차지한 후 발매되어 영국 음반 차트 2위로 데뷔,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는 등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2010년 데뷔 음반 - Animal (케샤의 음반)
케샤의 데뷔 정규 앨범인 Animal은 댄스 팝과 일렉트로 팝 장르를 기반으로 젊은 여성들에게 힘을 주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Tik Tok" 등 여러 싱글의 성공으로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리퍼블릭 레코드 음반 - For All the Dogs
《For All the Dogs》는 2023년 10월 6일에 발매된 드레이크의 힙합 앨범으로, 아들 아도니스가 그린 그림이 앨범 커버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여러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 리퍼블릭 레코드 음반 - How Big, How Blue, How Beautiful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인 How Big, How Blue, How Beautiful은 웰치의 심경 변화와 새로운 시각을 담아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인정을 동시에 받았으며, 뮤직 비디오 시리즈 "The Odyssey"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았다.
Tear the World Dow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가수 | 위 아 더 폴른 |
종류 | 스튜디오 |
발매일 | 2010년 5월 10일 |
녹음 기간 | 2009년 10월 – 12월 |
장르 | 하드 록 뉴 메탈 |
길이 | 46분 13초 |
레이블 | 유니버설 리퍼블릭 |
프로듀서 | 위 아 더 폴른 댄 서타 |
싱글 | |
싱글 1 | Bury Me Alive |
싱글 1 발매일 | 2010년 2월 2일 |
싱글 2 | Tear the World Down |
싱글 2 발매일 | 2010년 10월 12일 |
2. 곡 목록
Tear the World Down영어은 11개의 곡으로 구성된 앨범으로, 총 재생 시간은 46분 13초이다.
; B-사이드
- "Samhain" Samhain|샘하인영어 (4:07)
- "Like a Prayer" Like a Prayer|라이크 어 프레이어영어 (4:11)
2. 1. 정규 트랙
# | 제목 | 길이 |
---|---|---|
1 | Bury Me Alive | 4:46 |
2 | Burn | 3:43 |
3 | Paradigm | 3:55 |
4 | Don't Leave Me Behind | 3:33 |
5 | Sleep Well, My Angel | 4:07 |
6 | Through Hell | 3:41 |
7 | I Will Stay | 4:07 |
8 | Without You | 3:16 |
9 | St. John | 3:58 |
10 | I Am Only One | 4:37 |
11 | Tear the World Down | 6:30 |
2. 2. B-사이드
- "Samhain" Samhain|샘하인영어 (4:07)
- "Like a Prayer" Like a Prayer|라이크 어 프레이어영어 (4:11)
3. 평가
"Tear the World Down"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모두 폴른과의 유사성을 언급했다.
이 앨범의 음악 스타일은 하드 록[3]과 누 메탈로 평가되었다.
3. 1. 긍정적 평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Entertainment Weekly)''의 앤디 그린월드는 이 앨범에 B- 등급을 부여하며 "스미스슨의 목소리는 무디의 익숙한 메탈 리프와 고딕풍의 현악기 위에서 빛을 발한다."라고 평가했다. 올뮤직(AllMusic)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별 5개 만점에 3개를 주면서, 이 그룹이 "폴른" 시대의 "에이미 리"의 카리스마와 리와 무디가 가진 음악적 긴장감 없이 그 시절처럼 들린다고 말했다. 보컬 칼리의 존재는 "[앨범]을 순수한 상품으로 이끌지만, 그게 의도였고" 이 음반은 "폴른"의 사운드를 좋아하지만 모든 짜증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을 기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록 사운드(Rock Sound)''의 페이 루이스는 별 10개 만점에 8개를 주며 "익숙한 영역을 재방문"했지만 이 곡들은 "무언가를 증명하려는 밴드의 강렬함"을 보여주고 밴드가 "에반에센스보다 더 강하게 록을 한다"고 평가했다.3. 2. 부정적 평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Entertainment Weekly)''의 앤디 그린월드는 이 앨범에 B- 등급을 부여하며 "스미스슨의 목소리는 무디의 익숙한 메탈 리프와 고딕풍의 현악기 위에서 빛을 발한다. 10대의 텀블러에서 베껴온 듯한 주제는 아쉽다."라고 평했다.[5] 올뮤직(AllMusic)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Stephen Thomas Erlewine)은 별 5개 만점에 3개를 부여하며, 이 그룹이 "폴른" 시대의 "에이미 리"의 톡 쏘는 카리스마와 리와 무디가 가진 "진정한" 음악적 긴장감 없이 정확히 그 시절처럼 들린다고 말했다. 보컬 칼리의 존재는 "[앨범]을 순수한 상품으로 이끌지만, 그게 의도였고" 이 음반은 "폴른"의 사운드를 좋아하지만 모든 짜증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들을 기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4]''시애틀 포스트 인텔리젠서(Seattle Post-Intelligencer)''의 키르스텐 코치먼은 "이 앨범과 밴드의 주요 문제는 그들이 아직 자신만의 정체성을 개발하지 못한 것 같다"며 음악의 진정성이나 "그들을 차별화할 사운드"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곡은 "이 밴드가 자신을 차별화하고 독립적으로 설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나타냈다.[3] 트레이 윌리 스푸트니크뮤직은 이 앨범에 별 5개 만점에 "나쁨" 등급인 2개를 주며, "폴른"과 유사하여 "오래되고 지쳐 보인다"고 평했고 "폴른"의 "강력한 작곡"이 없다고 지적했다. 리프는 "진정한 정체성이나 진정한 변화가 부족"하고, "교향악적 요소는 사후적 사고처럼 느껴지며", "멜로디 부분은 ... 너무 약하거나 너무 짧아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결론 내리며 "7년 된 앨범에 대한 에반에센스 팬들의 향수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다."[7]
4. 참여 음악가
이 음반에는 밴드 위 아 더 폴른(We Are the Fallen)과 추가 세션 음악가들이 참여했다. 밴드 멤버는 다음과 같다.
4. 1. 위 아 더 폴른 (We Are the Fallen)
위 아 더 폴른 (We Are the Fallen) | |
---|---|
칼리 스미슨 | 보컬 |
벤 무디 | 리드 기타, 프로그래밍, 피아노, 타악기 |
존 르콩 | 리듬 기타, 만돌린, 프로그래밍 |
마티 오브라이언 | 베이스 기타 |
로키 그레이 | 드럼 |
추가 참여 음악가 | |
제레마이아 그레이 | 타악기 |
다니엘 무디 | 피아노, B3 |
데이비드 호지스 | 피아노 |
필립 피터슨 | 첼로, "I Am Only One"의 스트링 |
베서니와 존 "J.C." 르콩 2세 | "Burn"의 추가 합창 보컬 |
데이비드 캠벨 | 스트링 및 합창 편곡 |
4. 2. 추가 참여 음악가
- 제레마이아 그레이 - 타악기
- 다니엘 무디 - 피아노, B3
- 데이비드 호지스 - 피아노
- 필립 피터슨 - 첼로, "I Am Only One"의 스트링
- 베서니와 존 "J.C." 르콩 2세 - "Burn"의 추가 합창 보컬
- 데이비드 캠벨 - 스트링 및 합창 편곡
4. 3. 제작진
참여 음악가 | 역할 |
---|---|
칼리 스미슨 | 보컬 |
벤 무디 | 리드 기타, 프로그래밍, 피아노, 타악기 |
존 르콩 | 리듬 기타, 만돌린, 프로그래밍 |
마티 오브라이언 | 베이스 기타 |
로키 그레이 | 드럼 |
추가 참여 음악가 | 역할 |
제레마이아 그레이 | 타악기 |
다니엘 무디 | 피아노, B3 |
데이비드 호지스 | 피아노 |
필립 피터슨 | 첼로, "I Am Only One"의 스트링 |
베서니와 존 "J.C." 르콩 2세 | "Burn"의 추가 합창 보컬 |
데이비드 캠벨 | 스트링 및 합창 편곡 |
제작진 | 역할 |
댄 세르타 | 프로듀서, 엔지니어링, 프로그래밍 |
제이 바움가드너 | 믹싱 |
테드 젠슨 | 마스터링 |
더그 손더스 | 사진 |
5. 차트 성적
순위